김호상의 문화유산둘러보기 ‘천년신라, 멸망의 짊을 진 경애왕’
사진) 신라 일성왕릉(사적 제173호, 경주시 탑동 산23. 추정 경애왕릉)
설명) 현재 경주남산에 위치한 일성왕릉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경애왕릉(景哀王陵)으로 보고 있다. 그 근거로 [삼국사기]에 ‘경애왕이 포석정에서 견훤에게 핍박당하여 자살하자, 경순왕이 그 뒤를 이어 즉위한 후, 경애왕의 시신을 들어 서당(西堂)에 모셔두고 여러 신하들과 함께 통곡하였다. 시호를 경애(景哀)라 하였으며 남산(南山) 해목령에 장사지냈다.’ 고 기록된 것과 해목령 아래에는 다른 고분이 확인되지 않고 능의 위치가 [삼국사기]에 기록된 경애왕의 기록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교정) 지난 문화유산편지 147호 김시습의 [사청사우] 중 한자의 오타를 서울남부지방법원 윤성근 법원장님께서 바로잡아 주셨습니다. [보내주시는 글은 늘 감사히 받아보며 바쁜 일상 속에 잠시의 맑은 즐거움을 누리고 있습니다. 이번에 보내주신 글 중에서 花門花謝春何管 부분은 아마도 花開花謝春何管의 오타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편안한 연휴 보내시기 바랍니다.]
경주 서남산 말단에 위치한 포석정(鮑石亭)은 일반인들에게 신라의 멸망을 떠올리게 하는 장소이다. 신라시대에는 포석정 일대를 성남 이궁지(離宮址)라 하였다. 이궁이란 임금님이 행차를 할 때 머무르는 별궁(別宮)이란 뜻이지만, 이곳에서는 왕족과 귀족들의 놀이터 또는 남산신(南山神)을 위해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곳은 돌을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당시 신라인들의 정교한 솜씨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족들이 곡수연(曲水宴)을 즐기며 상류에서 띄운 술잔이 자기 앞에 오기 전에 시가(詩歌)를 짓고 잔을 들어 술을 마시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곳이다. 헌강왕은 포석정에서 남산 신(神)의 춤을 보고 그 춤을 자신이 직접 추어 신하들에게 보여주었는데, 신의 이름이 상심이라 하여 춤의 이름을 어무상심(御舞祥審)이라 하였다.
이러한 기록만을 살펴본다면, 우리들은 포석정이 왕족과 귀족들의 유흥을 일삼던 장소로만 생각할 수 있으나 여타의 기록을 살펴보면 포석정의 또 다른 면모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문무왕은 포석정에 충렬사(忠烈祠)를 세우고, 화랑 효종랑(孝宗郞)은 낭도들을 집합시켜 심신을 단련시켰다는 기록을 본다면 국가의 사당이나 화랑의 훈련장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천년의 지켜온 신라의 사직(社稷)이 포석정에서 종말을 맞게 됨에 따라 이곳은 언제나 지탄의 대상으로 미움을 받아왔던 곳이다. 조선시대 학자인 조식과 조위의 시에는 포석정에 대한 이러한 인식이 잘 반영되어있다. 마시고 노는데 열중하면 그 결과는 망하는 것뿐이니 포석정을 그 본보기로 삼으라는 뜻일 것이다.
국가의 풍전등화 앞에서 연회를 베풀고 놀았다는 것은 후대 역사가들이 경애왕에게 신라멸망의 짐을 더 많이 덮어씌우기 위한 것이었다. 그가 회한의 아픔을 안고 강요에 의하여 자결하였을 것을 생각해보면 연민의 정이 느껴진다. 포석정은 경애왕의 사연 때문인지 신라의 수많은 유적 중에서 가장 쓸쓸한 장소 가운데 한 곳이지만, 이제는 신라멸망이라는 굴레를 그에게서 내려주어야 할 때이다.
 
            







이-15일-하이아시아-경주점에서-할랄음식점-운영-점검을-하고-있다-150x150.jpg)










![4 [사진] 영천시, 산불 피해지역 영양군에 재난심리지원 나섰다! (1)](http://kitv.g-news.co.kr/wp-content/uploads/sites/7/2025/03/4-사진-영천시-산불-피해지역-영양군에-재난심리지원-나섰다-1-180x130.jpeg) 
                                   isTANBUL in GYEONGJU
						                        
                        isTANBUL in GYEONGJU
                         동궁 월지 연꽃속의 음악회 관광객 호응 높아
						                        
                        동궁 월지 연꽃속의 음악회 관광객 호응 높아
                         온누리에 자비를 청강사 부처님오신날 법요식가져
						                        
                        온누리에 자비를 청강사 부처님오신날 법요식가져
                         어려운 이웃과 “함께 하는 사람들” 사랑의 집짓기 6호 준공
						                        
                        어려운 이웃과 “함께 하는 사람들” 사랑의 집짓기 6호 준공
                         경주시, 농어촌지역 광대역가입자망 구축 개통식
						                        
                        경주시, 농어촌지역 광대역가입자망 구축 개통식